정형외과의사의 건강이야기 (118) 썸네일형 리스트형 손목터널증후군 재발, 재수술은 어떤 환자들이 받을까? (재발 확률이 높은 환자) 65세 여자 환자가 손목터널로 수술한 뒤에도 지속되는 저린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3 4 번째 손가락이 칼로 애리는 듯한 통증이 지속되어 일상생활이 너무 힘들다고 한다. 첫 수술한 지는 3달이 되어가고 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다. 이럴 경우 재수술을 해야할까? 그렇다면 재수술은 얼마나 자주 일어날까? 오늘은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라는 미국 최고의 성형외과 수부외과 전문 저널의 리뷰이다. 미국에서는 한 해에만 약 60만 명의 환자들이 손목터널 증후군으로 수술을 받는다. 그리고 이 중에서 재수술을 받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재수술의 이유로는 1. 증상이 지속되거나 2. 증상이 재발하였을 때이다. 하지만 재수술 후에는 결과가 매우 안 좋다. 그러므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재수술.. [골절] 요골두의 골절은 어떻게 치료하죠? 50세 남자가 넘어지면서 팔을 짚은 뒤 팔꿈치의 통증을 호소하며 내원하였다. 팔꿈치는 많이 부어있었고, 팔을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한다. x-ray를 찍어보니 요골두의 골절이다. 요골은 아래팔 뼈의 두 개 중 하나이며, 엄지손가락 쪽 뼈이다. 이 뼈는 위팔뼈와 만나면서 팔꿈치 관절을 이룬다. 넘어지면서 팔을 짚으면 많은 경우에 요골두가 위팔뼈와 부딪히며 부러지게 된다. 이 경우 요골두의 골절과 인대가 같이 파열되는 경우가 많다. 요골두 골절의 치료는? 치료는 골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위의 사진과 같이 뼈가 크게 한 조각만 떨어지고, 많이 어긋나지 않았다면 깁스 치료로도 가능하다. 짧게는 1주일, 길게는 3주정도 부목을 유지하고 재활 치료를 하면 대부분 회복된다. 하지만 뼈가 3조각 이상으로 부러지거나 .. 팔꿈치 인대 (척골 측부 인대)파열시 어떻게 치료하나요? 63세 여자가 넘어지면서 팔꿈치가 꺾여 통증을 호소하며 내원하였다. 팔꿈치 안쪽에 멍이 들어있고 부어있다. 팔꿈치를 굽혔다 폈다를 잘 하지 못하고, 눌렀을 때 심한 압통을 보인다. x-ray상으로는 팔꿈치 안쪽으로 뼛조각이 보인다. 골절과 함께 인대의 파열이 의심된다. MRI를 통해서 인대의 상태를 확인한다. 위의 사진에서처럼 내측 척골 측부인대의 파열과 주변 근육의 파열이 확인된다. 이제 어떻게 해야할까? 오늘은 논문을 바탕으로 치료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내측 척골 측부인대는 팔꿈치 안쪽에서 팔꿈치를 지탱해주는 인대의 한 종류이다. medial ulnar collateral ligament라고도 하며, MUCL이라고 약자로 한다. 이 부위는 투수들이 가장 많이 다치는 곳이다. 머리 위로 공을 뿌리는 스.. 손목터널증후군(수근관증후군) 비수술적 치료와 스트레칭, 재활 50대 여자가 손가락이 저리다고 한다. 주로 엄지, 검지, 중지 , 약지가 저리고 새끼손가락은 증상이 덜하다고 한다. 밤에 더 힘들고, 손을 많이 쓰면 더 저리고 아프기도 하다고 한다. 바로, 손목터널증후군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손목터널 증후군이란? 손목에서 정중신경이라는 신경이 손목의 인대 등에 눌리면서 생기는 병이다. 전체 인구의 1-3%에서 발생한다. 주증상은? 주로 저리고, 이상 감각이 생기거나 때로는 감각이 둔해지기도 한다. 손가락에서 1 2 3 4 번째까지 증상이 생기고 새끼손가락 증상은 대부분 없다. 밤에 더 심해지고 손을 많이 쓰면 심해진다. 엄지 두덩이라는 손바닥 쪽 감각은 괜찮다. 진단은? 손목터널 증후군진단 검사를 위해 정형외과에 방문하면 신경 타진 검사, 수근굴곡검사, 정중신경 압박.. [어깨탈구] 어깨/견관절 탈구 후 신경손상? 팔 전체 마비가 올 수 있다 ( feat. 상완 신경총 손상) 어깨 탈구는 매우 흔하다. 실제로 몸 전체의 관절 탈구 중에서 가장 흔하다. 그리고 탈구가 되면서 겨드랑이를 지나가는 상완 신경총이 손상을 입기도 한다. 이 상완 신경총이란, 척수에서 나오는 신경들이 모여서 다발을 이룬 것이고, 말의 꼬리털 같아서 '총'이라고 한다. 이 신경총에는 위팔, 아래팔, 손으로 가는 모든 신경들이 모여있기 때문에, 여기가 손상되면 상지 전체가 마비되기도 한다. 그래서 떄로는 어깨 탈구 후에 팔이 안 올라가거나 팔이 안 굽혀질 수 있다. 얼마나 자주 신경이 다칠까? 어깨 탈구 후 신경 손상은 5.4~55/5에 이를 정도로 흔하다. 3633명을 대상으로한 연구에서는 약 13.5%로 집계하였다. 특히, 젊은 남자들은 교통사고나 운동 중에 팔이 빠질 경우에 신경 손상이 잘 되고, 나이.. 어깨 관절경 수술 후에 팔이 안올라간다? 신경 손상을 의심해라 45세 여자 환자가 어깨 회전근개 파열로 수술을 받았다. 그런데, 수술 후에 팔이 안 올라간다. 주치의 말로는 곧 돌아올 거라고 하는데 잘 안된다. 왜 그럴까? 오늘은 1995년에 나온 저널을 한 번 보려고 한다. 오래되었지만, 모든 어깨 수술하는 의사들이 참고해야할 만한 것이다. 해부학부터 보겠다. 어깨는 목에서 나오는 신경들이 모두 지나가는 통로이다. 특히나 상완 신경총이라는 경추 4번부터 흉추 1번 신경이 모두 뭉쳐있는 신경 다발이 지나가므로 매우 주의해야 한다. 이 상완 신경총 중에서도 어깨 주변으로 직접 가지를 내서 지나가는 신경들에는 1. 상견갑신경 suprascapular 2. 근피신경 musculocutaneous 3. 겨드랑신경 axillary nerve 4. 위견갑하근신경 upper s.. [회전근개파열] 회전근개 파열 수술 후 스테로이드 주사 (뼈주사)를 맞아도 되나요? 오늘은 작년에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에 게재된 논문 리뷰이다. 우리나라 강남 성모병원의 김양수 교수님께서 대표저자로 발표한 논문이다. 뼈주사/ 스테로이드 주사는 매우 위험할 수 있는 주사이다. 하지만 잘 사용한다면 환자 입장에서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뼈주사에 관해서는 아래 글을 우선 참고하자. 2020/04/01 - [정형외과의사의 건강이야기/건강 일반 상식] - 뼈주사 맞아도돼요? 스테로이드 주사의 안정성과 부작용 뼈주사 맞아도돼요? 스테로이드 주사의 안정성과 부작용 오늘도 JBJS review이다. 전 세계에서 가장 인정받는 학회지 중 하나인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American volume에 2016년 1.. 딱밤 때리다 손가락 힘줄의 탈구(신전건 탈구)- 힘줄 잡아주는 시상대의 파열? 오랜만에 review article이다. 시상대가 뭐지? 시상대라는 말 너무 낯설다. 나도 처음에는 이게 무슨 말인가 했다. 쉽게 말하면 손등에 있는 손가락 펴는 힘줄들을 연결해주는 조직들이다. 손등의 힘줄은 단면을 보면 동그랗다. 그리고 이 힘줄들은 손바닥 뼈에 중앙에 고정되어있는데, 이 힘줄을 고정하는 조직이 바로 시상대이다. 위의 그림은 MRI T2 view이다. 커다란 뼈 위에 작은 검정 동그라미가 바로 힘줄이다. 이 힘줄이 큰 빨간 동그라미, 반지와 같은 조직에 의해서 위에 고정되어있다. 이 시상대가 없으면 힘줄은 양옆으로 흔들리게 된다.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가운데 있어야 할 힘줄이 옆으로 빠지게 된다. 위 그림에서 짧은 노란 화살표는 끊어진 시상대를 나타낸다. 시상대는 언제 끊어지죠? 시상대.. 회전근개 파열 시 이중 힘줄 봉합 방법, 매듭을 짓나 안짓나? (knotless technique review) 오늘은 충남대학교에서 발간한 논문을 리뷰해 보려 한다. 회전근개 파열이 되면, 힘줄이 뼈에서 떨어진 것이기 때문에, 뼈에 다시 힘줄을 붙여줘야 한다. 그 때에 봉합사를 뼈에 박은 뒤에, 그 봉합사로 힘줄을 떠서 다시 뼈로 붙여주는 것이 바로 수술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면 된다. 2020/03/15 - [정형외과의사의 건강이야기/어깨 건강] - 어깨 힘줄 끊어졌을 때의 통증, 진단과 수술방법? (feat. 관절내시경 수술) 어깨 힘줄 끊어졌을 때의 통증, 진단과 수술방법? (feat. 관절내시경 수술) #정형외과의사필쏘굿 #관절내시경수술 #회전근개수술 #회전근개파열봉합술 이번에는 좀 더 전문적인 포스팅이다. 이전에는 회전근개 파열에는 부분 파열과 전층 파열이 있고 이중에서 부 dr-fee.. [어깨수술 후 재활] 회전근개 파열 수술 후 빠른 재활이 좋을까 늦은 재활이 좋을까 회전근개 파열로 관절경 봉합술을 하였다면 언제부터 재활을 하는 것이 좋을까? 이에 대한 논쟁은 한동안 이어졌었다. 재활이 중요한 이유는 어깨 수술 후 가장 흔한 합병증이 어깨가 굳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빠른 재활을 추구하는 의사들이 있었는데, 일각에서는 재활을 빨리하면 힘줄이 제대로 낫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에 대해서 2018년 중국에서 작성한 논문을 보자. 빠른 재활은 일반적으로 수술 직후, 빠르면 수술 후 1주일 이내에 재활을 시작하는 것을 말한다. 늦은 재활은 일반적으로 수술 후 4-6주에 재활을 시작하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이 논문은 여러 개의 Randomized controlled trial을 분석하여 최상의 결론을 내려고 하는 메타 분석 연구이다. 총 8개의 논문을.. 이두박근 , 2형 SLAP, 슬랩 병변은 꼭 수술해야 하나 오늘은 저널을 리뷰해 보겠다. 임상연구에서는 최고봉이라고 할 수 있는 무작위 배정/ 대조군 연구이다. 오늘은 슬랩 병변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슬랩은 SLAP으로 Superior labrum anterior posterior의 약자이다. 즉, 어깨 관절의 관절와순이 찢어지는 병변이다. 관절와순이라는 것은 견갑골의 관절면을 입술과 같이 두르고 있는 인대의 일종이다. 관절을 더 깊게 해서 어깨 관절에 안정성을 주는 구조물이다. 여기에는 이두박근의 장두가 부탁을 하는데, 힘을 많이 받기 때문에 찢어지기가 쉽다. http://www.ismrehab.com/labral-tears.html Labral Tears The shoulder is a "ball and socket" joint, with the "ball".. [회전근개파열] 견갑하근의 해부학, 기능, 수술의 필요성에 대하여 견갑하근이 뭘까 회전근개 4개 중의 하나이다. 회전근개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그리고 견갑하근으로 이루어져있다. 견갑하근은 이 중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근육으로 알려져있다. 그리고 영어 이름은 subscapularis muscle인데 이는, 견갑골(scapula)의 아래(sub)에 있다는 뜻이다. 사실은 해부학적 위치로는 견갑골의 앞쪽에 있는 것이지만, 바깥에서 안쪽으로 보면, 안쪽에 숨어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은것 같다. 견갑하근은 견갑골 전체를 덮을 만큼 크다. 그래서 그만큼 강력하다. 매우 중요한 근육일것 같은데, 최근에서야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예전에는 이 근육의 파열이 매우 드문것으로 생각했었는데, 실제로는 어깨 관절경 수술을 해보면 약 50%에서 발견될 정도로 흔하다고 한다. 하지만..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