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지한 남편의 talk talk talk/습관의 힘

[재테크 마인드] 당신은 무엇인가를 희망하는가? 그럼 결코 행복해질 수 없다. (feat. 희망 버리기 기술)

희망버리기 기술은 마크 맨슨이라는, 신경 끄기 기술의 저자가 쓴 책이다. 

 

2019년 작이며, 작가의 이전 작인 '신경끄기 기술'의 원제는 ' the subtle art of not giving a fuck'이다. 

제목부터 매우 거칠고, 실제로 글들도 거친 면이 있고, 좀 오글거리

는 면도 있지만 확실히 읽어볼만은 하다.

 

저자는 희망을 버리고, 현재에 충실해야 한다는 어쩌면 뻔한 이야기를 하는데, 이 것을 심리학, 진화심리학, 철학 등과 결부시켜서 재미있게 풀어간다. 

 

시작하기 전에, 묻고 싶다. 

 

여러분은 희망이 있는가? 그리고 그 희망을 위해서 열심히 살고 있는가?

 

희망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미래의 어떤 것을 원하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어떤 것을 희망하고, 원하면 그것을 위한 행동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내 행동이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 되는 것이 문제이다. 

 

모든 것이 수단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친구를 사귀는 것 조차도 인맥을 늘려서 결국은 내 사업의 성공의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다. 때로는, 부모나 자식을 사랑하는 행위마져도 나에게 무엇인가 이득을 줄 것이고, 나를 행복하게 해줄 것이라는 수단으로서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을 때 너무나 힘들어진다. 그리고 모든 수단이 의미가 없어진다. 나를 행복하게 해주지 않는 것들은, 나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하는 것, 나의 희망을 짓밟는 것들은 모두 배척하게 된다. 그게 설령 내 가족일지라도, 내 친구일지라도.

 

그래서 희망을 버려야 한다. 

그리고 현재에 집중하고, 내 행동 자체에 목적을 둬야 한다. 

너무 뻔한 이야기이지만, 그렇다고한다. '

 

 

희망버리기 기술

 

그리고 희망을 버리는 것은 우리가 어른이 된다는 것이다. 

 

아래의 표를 참고해보면, 어린이 청소년,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어린이와 성인의 차이

 

어린이는 쾌락이 행동의 원칙이다. 본인이 하고 싶은 것을 하고, 하기 싫은 것은 하지 않는다. 세상의 중심은 당연히 나다. 그리고 어린이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루지 못하면 짜증을 낸다. 

 

청소년은 조금 달라진다. 세상은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할 수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내가 하고싶은 대로 행동하면, 나는 즐거운데, 내가 좋아하는 엄마는 싫어할 수 있다. 여러가지 대립되는 가치들 중에서 뭐가 더 옳은지 판단을 하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원칙을 세워서 지킨다. 이 과정에서 청소년들은 어떠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참는 법을 배운다. 내가 시험 끝나고 즐겁게 놀기 위해서 공부를 하고, 맛있는 음식을 먹기 위해서 숙제를 한다. 

 

어른은 이 다음 단계로, 어떤 행동을 수단으로 삼지 않는다. 어른은 조건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다. 나를 행복하게 해주는 가족이라서 좋아하는 것이 아니고, 가족이기 때문에 무조건적인 사랑을 한다. 성실하고 정직하게 사는 것이 옳기 때문에 그러헥 산다. 성실하게 살아서 성고하려고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다. 

 

매 순간을 살아가고, 매 순간을 즐기는 것이 어른이다. 

 

희망의 문제는 그것이 근본적으로 거래라는 사실이다. 어떤 상상 속의 즐거운 미래를 대가로 놓고 현재의 행동을 흥정하는 것이다. 이 희망이라는 거래에 갇혀있으면 절대 행복해질 수 없다. 이를 초월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무조건적인 행동을 해야 한다. 

 

 

여러분은 어린이인가 청소년인가 어른인가?

 

나는 지금까지 청소년으로 살아왔었다. 하지만 이제는 그 틀을 벗어나려고 한다. 

 

조금 다르지만, 이 책의 내용, 즉, 희망을 버려야한다는 내용은 결국에는 '아주작은 습관의 힘'과도 통한다. 

 

매일매일 작은 성공을 하면서 하루 하루를 쌓아가면 어느새인가 내가 원하는 지점에 도달해 있다. 목표를 좇지 말고 매일 내가 습관을 만들어가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 

 

모두 어른이 되어보자. 

 

 

2020/05/17 - [필쏘굿 부부일상/진지한 남편의 일상] - [아주 작은 습관의 힘] 하루 2분으로 내 인생을 바꿀 수 있다

 

[아주 작은 습관의 힘] 하루 2분으로 내 인생을 바꿀 수 있다

습관의 힘에 이어 아주 작은 습관의 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2020/05/16 - [필쏘굿 부부일상/진지한 남편의 일상] - [아주 작은 습관의 힘] 습관을 바꾸려면 먼저 정체성을 바꿔라 [아주 작은 습관의

dr-feelsogood.tistory.com

2020/05/16 - [필쏘굿 부부일상/진지한 남편의 일상] - [아주 작은 습관의 힘] 습관을 바꾸려면 먼저 정체성을 바꿔라

 

[아주 작은 습관의 힘] 습관을 바꾸려면 먼저 정체성을 바꿔라

앞서 습관의 힘 책에 관한 세 편의 글을 썼었다. 습관의 힘 책을 읽으면서 아쉬웠던 점은 습관을 바꾸고 싶은 동기 부여에 대해서 제대로 안나와있었다는 것이다. 나 같은 경우는 최근에 경제적

dr-feelsogood.tistory.com

2020/05/15 - [필쏘굿 부부일상/진지한 남편의 일상] - [습관의 힘]누구나 할 수 있는 나쁜 습관 바꾸는 실천법

 

[습관의 힘]누구나 할 수 있는 나쁜 습관 바꾸는 실천법

습관에 관한 세 번째 글이다. 2020/05/10 - [필 쏘 굿 부부 일상/진지한 남편의 일상] - 남편 일상❤ 성공을 원해? 핵심 습관만 고치면 된다. (feat. 습관의 힘)' 남편일상❤ 성공을 원해? 핵심 습관만 고

dr-feelsogoo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