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편에서는 한한 손의 감염중에서 손톱 주위염 (조갑 주위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2020/04/23 - [정형외과의사의 건강이야기/손, 손목, 팔꿈치] - 흔한 손과 손가락 감염의 종류 1편 (급성과 만성 손톱주위염- 조갑주위염)
이번에는 손가락 감염중에서도 가장 심각하고, 목숨까지 빼앗아갈 수 있는 급성 화농성 굽힘근 힘줄염에 대해서 먼저 알알보자.
50대 알코올 중독자 남자가 응급실로 온다.
며칠전 부터 갑자기 열이 나고 정신을 잃을 정도로 몸이 안좋아서 구급차에 실려온다.
매일 소주 2-3병씩 마시는 사람이고, 며칠전 깨진 유리 조각이 손에 박혔었고, 상처가 점점 악화되더니 고름이 나오기 시작했고, 갑자기 열이 나면서 의식을 잃었다고 한다.
환자는 손바닥에 상처가 있었고 여기에서 고름과 함께 심한 악취가 난다.
응급으로 수술실로 들어가서 세척술을 시행했고, 다량의 고름과 감염된 조직들을 제거했다.
하지만 반복되는 수술에도 상처는 낫지 않았고, 결국 손가락을 잘라야 했다.
손에 고름이 잡히는 일은 생각보다 흔하다. 앞서 말한 손톱 주위염도 고름이 잡힌다. 하지만 손바닥에 고름이 잡히는 것은 굉장히 위험할 수 있다.
손바닥의 구조는 굉장히 복잡하면서 독특하다. 손가락의 힘줄은 각각이 서로 분리된 공간에 들어가있다. CCTV같이 닫힌 공간안에 들어있다. 강력한 힘을 내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이러한 닫힌 구조 때문에 한번 감염이 생기면 걷잡을 수 없이 자라나고, 이 감염이 전신으로 퍼지게 되면 패혈증 (sepsis)로 진행하게 되어 목숨까지 위험해 질 수 있다.
이러한 급성 화농성 힘줄염은 손 감염의 약 10%를 차지할 정도로 흔하다.
일부 연구서는 28-67%까지도 가능하다고 한다.
그만큼 중요한 병이니 알아두면 유용하다.
감염되는 균은 포도상구균이 가장 흔하고,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MRSA)가 두번째로 많다.
#진단
우선 손가락에 상처가 있어서 감염의 경로가 확인되어야 한다.
사람이나 동물에 물리거나, 더러운 꼬챙이에 찔리거나, 유리에 찔리면서 균이 손바닥으로 침입을 해야한다.
그리고 신체검진에서는 다음을 확인해야 한다.
Kanavel의 4개의 중요한 징후가 있는데, (Kanavel's cardinal signs)
1. 손가락이 붓고
2. 손가락 힘줄을 따라서 통증이 있고
3. 뒤로 제낄때 극심한 통증이 있고
4. 힘을 주지 않았을때 살짝 굽힌 모양을 보인다.
하지만 이 네 가지를 모두 보이는 환자는 전체의 반밖에 안된다.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2번과 3번이다.
즉 손가락의 힘줄을 따라서 아프고 뒤로 제낄때 극심한 통증이 있다면 의심해 봐야 한다.
하지만 아이들은 어른들과 다른 증상을 보일 수 있고, 면역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HIV 환자나 면역 억제제를 먹는 환자들은 증상이 덜할 수 있다.
#치료
증상이 심하지 않고, 발생한지 24시간 이내라면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기준도 굉장히 애매한게, 증상이 조금 있을때 부터 24시간인지, 극심할 때 부터 24시간인지
결정하는 기준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항생제로 치료할지, 수술적 치료를 바로할지는 의사의 주관적인 판단이 많이 개입된다.
하지만 치료 시기를 놓치면 패혈증과 사망까지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를 권한다.
수술적 치료로는 힘줄을 싸고 있는 막을 열어주고 더러운 조직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 반드시 시행할 것은 약 48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생리식염수와 같은 세척수를 이용해서 물을 흘려 보내는 것이다.
급성 화농성 굽힘근 힘줄활액막염은 손에서 유일한 응급질환이다.
적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까지도 위험할 수 있으니 정확한 판단과 신속한 처치가 중요하겠다.
'정형외과의사의 건강이야기 > 손, 손목, 팔꿈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끼 손가락쪽 손목 통증, 척골 충돌 증후군 증상, 진단 및 수술적 치료 (0) | 2020.05.01 |
---|---|
흔한 손과 손가락 감염의 종류 3편 (봉와직염과 헤르페스 그 외) (0) | 2020.04.26 |
흔한 손과 손가락 감염의 종류 1편 (급성과 만성 손톱주위염- 조갑주위염) (2) | 2020.04.23 |
공에 맞은뒤 손가락이 안펴지는 망치손가락, 진단, 치료, 수술 결과, 재활 (2) | 2020.04.20 |
암벽등반, 클라이밍 손가락 부상, A2 A3 활차 파열 진단, 증상, 치료법 (0) | 2020.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