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형외과의사의 건강이야기/손, 손목, 팔꿈치

공에 맞은뒤 손가락이 안펴지는 망치손가락, 진단, 치료, 수술 결과, 재활

30대 남자가 일요일에 야구 하다가 공에 손가락 끝을 맞은뒤에 손가락이 아프고 펴지지 않는다며 외래에 왔다. 

 

새끼 손가락 끝 마디가 부어있고 피멍이 든채로 구부러져있다. 힘을 줘서 펴보라고 해도 펴지 못한다. 

 

손가락 끝마디가 펴지지 않는 망치 손가락 (출처 buoy health)

 

 

바로 망치손가락. Mallet finger라고 한다. 

 

손가락이 망치를 닮아서 붙인 말이고, 외국에서 만들어진 단어라 우리한테는 생소할 수 있다. 

난 아무리봐도 망치 같지 않다. 

 

망치 손가락이 생기는 원이는 손가락 끝마디를 펴는 힘줄이 제역할을 하지 못하기 떄문이다. 

 

손가락 펴는 힘줄은 마지막 마디 뼈에 붙는데, 이 힘줄이 터지거나 , 힘줄이 붙는 부위의 뼈가 부러지면 망치손가락이 생긴다. 

 

#진단

진단을 위해서는 다친것인지 아니면 원래 모양이 이상했는지 꼭 확인을 해야 한다. 

간혹 관절염으로 손가락이 망가져있는 경우도 있어서 유의해야 한다. 

 

어떻게 다쳤는지를 확인하면

대부분이 손 끝이 어디에 걸렸다거나 부딪혔다고 한다. 

 

손가락 끝이 강하게 구부러지는 힘을 받으면 망치 손가락이 생긴다. 

 

신체검사로는

손가락 끝마디의 위쪽이 아프고, 눌르면 굉장히 아프다. 

그리고 아무리 손가락을 펴려고 노력을 해도 되지 않는다. 

 

제일 확실한 것은 x-ray , CT , 초음파 등의 영상 검사이다. 

 

 

손가락 끝 뼈의 일부가 부러지며 생긴 망치손가락

 

x-ray CT에서는 뼈가 잘 보이기 떄문에, 뼈가 부서진 골성 망치손가락을 진단할 수 있고

MRI, 초음파등에서는 힘줄도 보이기 때문에 힘줄성 망치손가락을 진단할 수 있다. 

 

#치료

 

우선 진단이 되었다면 뼈가 부러진 것인지 힘줄이 터진것인지에 따라 치료가 다르다.

여기서는 우선 다친지 얼마 안되는 경우를 다루겠다.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크게 나뉜다. 

 

1. 힘줄이 터져서 생긴 망치 손가락

힘줄이 터져서 생겼다면 대부분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치료는 단순하다. 굽혀져 있는 손가락을 펴지게 한채로 부목 고정을 하는 것이다. 

 

손가락을 고정하는 다양한 방법 출처 : Orthobullet

부목 고정은 굉장히 불편하다. 하지만 수술을 피할 수 있다. 

 

- 부목 고정 기간은 6-8주가 일반적이지만 12주까지 하기도 한다. 

- 부목은 하루 24시간 착용해야하고, 씻을때 조차도 손가락을 편채로 유지해야 한다. 

- 부목 고정을 풀고나서 굽히는 연습을 시작한다. 

 

 

부목 고정술 외에 절개하여 힘줄을 직접 꼬메주기도 한다. 

 

힘줄이 너무 끝에서 끊어졌다면 suture anchor라는 삽입물을 이용해서 뼈에 나사를 박고, 나사에 달려있는 실을 이용해서 힘줄을 다시 붙여준다. 

2. 뼈가 부러져서 생긴 망치손가락

 

위의 x-ray 사진과 같이 뼈가 떨어져 나갔다면 그 크기가 중요하다.  

뼈의 크기가 관절면의 30~50% 이상이라면 수술이 필요하다. 

또 손가락이 아래쪽으로 빠져있거나, 뼈가 제자리로 들어가지 않는다면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 방법은 열어서 하는것과 열지 않고 핀고정만 하는 두가지로 나뉜다. 

급성기에는 대부분 열지 않고 핀만 박아준다. 

 

수술법은 extension block이라고 하는데, 한국말로는 신전 방지 고정법 정도가 되겠다. 

 

핀을 박아서 손가락을 편채로 고정을 시키는 것인데, 떨어진 뼈 조각을 눌러줘야 해서 뼈조각의 위쪽에 핀을 박아 준다. 

 

비절개 핀고정술로 수술한 수술 전 후 방사선 사진

4주정도 핀을 유지하고 이후에 재활을 시작한다. 주로 굽히는 운동을 한다. 

 

 

 

#치료 후의 결과

 

90%이상 치유가 된다.

성공률은 높은 편이고, 불편함을 잘 느끼지 못한다. 

 

치료 후의 합병증으로는 

 

- 손가락 굽힘 제한

- 손가락이 다 펴지지 않는 경우

- 재 파열이 되는 경우

- 백조목 변형이 되는 경우

 

이렇게 있는데, 적절한 재활 치료를 통하여 예방이 가능하다. 

 

재활은 굽히는 동작에 중점을 두며, 

초기에 무리하게 굽히지 않고 본인이 굽힐 수 있는 정도로만 한다. 

 

하지만 초기에 진단을 하지 못해서 만성 망치 손가락이라면 치료 결과가 좋지 않다. 

통증이 지속적으로 있으면 손가락을 합쳐버리는 유합술을 하기도 한다. 

 

 

결론

 

망치형 손가락은 손가락이 갑작스럽게 꺽이는 동작에 의해서 생길 수 있으며

손가락 끝마디를 펴는 힘줄의 기능에 문제가 생긴다. 

 

크게 힘줄이 터지거나 뼈가 부서지며 생기는 두가 종류가 있으며

 

치료법은 부목 고정술 또는 핀 고정술을 택하게 된다. 

 

치료 결과는 좋은 편이며 적절한 재활 치료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