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과 손가락은 우리 몸에서 가장 일을 많이 하는 기관 중에 하나이며 가장 정교한 기관이다.
그래서 환자들도 가장 예민하고, 결과가 조금만 좋지 않아도 힘들어한다.
수부와 상지를 전문으로 하는 나도 손가락 또는 손, 손목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오면 긴장하게 된다.
워낙 복잡한 구조물들이 있어서 진단도 어렵고, 적절한 치료도 어렵기 때문이다.
게다가 수술이 조금만 잘못되어도 환자들의 불편감을 매우 크기 때문이다.
이렇게 까다로운 수부 질환 중에서도 감염은 더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
손가락 감염 중에 급성으로 오는 것은 목숨이 위험할 수도 있기 때문이고
어떤 질환은 잘못된 치료를 하면 계속 재발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어떤 세균이 감염을 일으키나?
피부 상재균이 가장 흔한 균이다.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과 연쇄상구균 (streptococcus) 종이 가장 많다.
예전에는 메티실린 감수성 포도상구균이 가장 많았으나, 최근에는 약재 내성균이 많아져서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 상구균 감염이 전체의 50% 정도로 높아졌다.
그래서 최근에는 1차 항생제로서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구균에 효과가 있는 클린다마이신, 독시사이클린 등을 권고하기도 한다.
이제 손과 손가락 감염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고 각각의 진단 및 치료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자.
#손톱 주위염 (조갑 주위염)
손의 감염중에 가장 흔한 것이다.
손톱 옆의 살들에 생기는 것으로 6주 미만이면 급성. 6주 초과면 만성으로 나눌 수 있다.
원인으로는 손톱을 뜯거나 (onychophagia), 손가락에 입을 많이 댈 때에 생긴다.
- 급성 손톱 주위염
손톱 주변 살이 빨갛게 붓고 아프며, 고름이 차기도 한다.
포도상구균이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바이러스나 혐기성 균들도 가능성이 있다.
감염이 퍼지면 손톱의 바닥 부분으로도 가서 손톱 뿌리를 손상시킬 수도 있다.
치료는 고름이 없다면 항생제와 aluminium acetate solution 과 같은 용액에 손을 담가서 치료한다.
하지만 이런 치료가 듣지 않거나 고름이 있다면 고름을 제거하는 수술을 해야 한다.
수술이라고 하기에는 애매한 면도 있다. 부분 마취를 하고 조금 째서 고름을 짜내는 정도이다.
-만성 손톱 주위염
손톱 주위로 고름은 잡히지 않지만 6주이상 증상이 지속된다면 만성 손톱 주위염이다.
이렇게 만성 손톱 주위염이 잘 걸리는 사람들은 손에 자극적인 물질이 계속 노출되는 경우이다.
산, 알칼리나 화학 약품 등에 지속적으로 손이 노출된다면 칸디다와 같은 곰팡이 등에도 감염이 된다.
주부, 요리사, 바텐더, 세탁소 직원, 수영 선수들도 물에 노출이 많이 되기 때문에 만성 손톱 주위염이 생길 수 있다.
치료의 첫 단계는 손에 자극이 되는 물질을 피하고, 습한 환경을 피하며 손톱이나 손톱 주변에 자극을 주는 매니큐어나 손톱 물어뜯기를 그만 해야 한다.
초기 치료제로는 진통소염제,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 등을 바르고 곰팡이 감염이라면 곰팡이 제거 연고를 바른다. 여기에 세균 감염도 동반되어있다면 항생제를 복용하기도 한다.
이런 치료도 효과가 없을 때는 수술이 필요하기도 한다. 수술로는 손톱 주변 살들을 드러내고 필요시 손톱 일부를 제거한 뒤에 다시 덮어주는 것이다.
가장 흔한 손톱 주위염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질환은 다행히도 치료가 잘되는 편이다.
다음 편에서는 손가락 감염이 사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급성 화농성 굽힘근 힘줄 활액막염에 대해서 알아보자.
(Acute Pyogenic Flexor Tenosynovitis)
2020/04/25 - [정형외과의사의 건강이야기/손, 손목, 팔꿈치] - 흔한 손과 손가락 감염의 종류 2편 (생명을 위협하는 화농성 굽힘근 힘줄염)
흔한 손과 손가락 감염의 종류 2편 (생명을 위협하는 화농성 굽힘근 힘줄염)
지난 편에서는 한한 손의 감염중에서 손톱 주위염 (조갑 주위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2020/04/23 - [정형외과의사의 건강이야기/손, 손목, 팔꿈치] - 흔한 손과 손가락 감염의 종류 1편 (급성과 만��
dr-feelsogood.tistory.com
2020/04/26 - [정형외과의사의 건강이야기/손, 손목, 팔꿈치] - 흔한 손과 손가락 감염의 종류 3편 (봉와직염과 헤르페스 그 외)
흔한 손과 손가락 감염의 종류 3편 (봉와직염과 헤르페스 그 외)
이전 두 편에서는 손톱 주위염과 응급질환인 화농성 굽힘근 힘줄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혐주의!!! 보기 싫은 사진들이 포함되어있을 수 있습니다. 2020/04/23 - [정형외과의사의 건강이야기/손, ��
dr-feelsogood.tistory.com
출처 : JBJS Rev. 2020 Apr;8(4):e0188. doi: 10.2106/JBJS.RVW.19.00188.
'정형외과의사의 건강이야기 > 손, 손목, 팔꿈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흔한 손과 손가락 감염의 종류 3편 (봉와직염과 헤르페스 그 외) (0) | 2020.04.26 |
---|---|
흔한 손과 손가락 감염의 종류 2편 (생명을 위협하는 화농성 굽힘근 힘줄염) (0) | 2020.04.25 |
공에 맞은뒤 손가락이 안펴지는 망치손가락, 진단, 치료, 수술 결과, 재활 (2) | 2020.04.20 |
암벽등반, 클라이밍 손가락 부상, A2 A3 활차 파열 진단, 증상, 치료법 (0) | 2020.04.19 |
월상골 낭종 증상, 진단, 치료법, 관절경 수술법 (feat. 키엔벡병) (4) | 2020.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