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YTN 라디오에 출연을 했다.
처음으로 출연하는 라디오였다. 아침 일찍 일어나서 대본도 한번 읽고, 목욕재계 한 뒤에 상암으로 출발했다. 버스를 타고 가면서 생각을 정리했다.
방송국에 도착해서 출입증을 받은 뒤 라디오 층으로 이동을 했다. 예전에 한 번 친구를 따라서 간 적이 있었지만, 내 방송으로 간 것은 처음이라 재밌었다.
라디오 스튜디오에 가서 PD와 작가에게 인사를 했고, 간단한 안내 뒤에 대기실에서 대기하다가 내 차례가 되어서 스튜디오로 들어갔다.
청중이 없다보니 막상 별로 긴장이 되진 않았다.
라디오 DJ가 너무 잘 리드해줘서 막힘 없이 풀어갈 수 있었다.
주 내용은 집콕 코로나로 인해 관절 건강이 나빠지고 있고, 이를 위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운동들이나 생활습관 교정 방법 등을 소개해주는 것이었다.
하지만 계단 오르기에 대해서 제대로 설명을 하지 못한 것 같아 여기에 마무리하려고 한다.
계단 오르내리기는 검증된 운동법이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2/10/2019121001060.html
한혜진 운동법 '계단 오르기'… 다이어트 외의 건강 효과는?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계단 오르기는 다이어트, 심폐기능 강화, 하체 근육 단련에 도움이 된다./사진=연합뉴스 한혜진이 추천하는 운동법으로 '계단 오르기'를 꼽았다. 9일 방송된 JTBC2 '호구의 차트'에 출연한 한혜진은 "내가 생각하는 베스트 운동법은 무조건 계단이 짱인 것 같다"며 "살이 진짜 많이 빠진다"라고 말했다. 그는 "몇 층까지 올라야 하냐"는 질문엔 "운동이 되려면 80층 정도는 해야 한다"며 "반복 운동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계단 오르기는 장소에 구애받지
health.chosun.com
한혜진과 같은 연예인들도 계단 오르내리기 운동을 한다. 특히 요즘같이 사회적 거리두기가 필요한 시점에서는 사람들 없는 곳에서 조용히 운동할 수 있어서 더욱 좋다. 아파트 계단은 정말 텅텅 비어있어서 제격이다.
나도 출퇴근, 병원 회진시에도 계단을 올라간다. 바쁜 일상에서도 틈틈이 할 수 있기에 강력하게 추천한다.
그럼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알보자.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332959
[5분 건강톡톡] 하루4층 계단 오르기…올바른 자세는?
<앵커 멘트> 바쁜 직장생활에 운동할 시간이 없어서 틈틈이 걷는분들 많으시죠. 단순 걷기도 좋지만, 이보다 운동효과를 배로 높여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우리 주변 계단을 활용해 오르는건데요. <질문>
news.kbs.co.kr
빠르게 평지를 걷는것보다 계단 올라가기가 더 운동량이 많다. 운동량은 산소섭취량으로 볼 수 있는데 평지 걷기는 14.4, 계단 오르기에선 31.3 이 소모된다.
이렇게 운동량도 많으면서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근육들인 다리 근육, 허리 근육, 복근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근육이 발달하면 기초대사량도 높아져서 살이 빠짐은 물론, 신진대사도 활발해진다.
하지만 주의할 점은 자세이다. 앞으로 구부정하게 하고 올라가면 운동량이 반감되고 오히려 허리에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허리를 곧게 세우고 하자.
계단 오르기의 또 하나의 효과는 바로 각성이다. 약 10분간 계단 오르기를 하게 되면 카페인 50mg을 섭취한 것과 같은 각성 효과가 나타난다고 한다. 일반 라테가 150mg 정도이니, 1/3잔 정도이다.
제일 놀라운 효과는 심혈관 질환 사망률이 감소하는 것이다. 매일 적어도 여든개 이상, 4층 이상 오르는 사람은 앉아서 생활하는 사람보다 심혈관질환 사망 위험이 33% 낮다고 하니 정말 좋은 운동이다.
하지만 무릎 관절이 너무 안 좋은 사람은 계단 오르기를 하면 안 되고, 평소에 운동을 안 하던 분들은 낮은 강도부터 시작해야 한다.
계단 오르기 강도조절은 속도, 보폭으로도 할 수 있고 발을 딛는 방법으로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바닥 전체를 디디면 낮은 강도, 발의 반만 딛고 올라가면 높은 강도로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의할 점은 계단을 올라갈 때는 걸어 올라가되, 내려올 때는 엘리베이터를 타야 한다. 왜냐하면 내려올때는 무릎에 실리는 하중이 5-10배가량 증가하기 때문이다. 허리에도 좋지 않으므로 주의하자.
다 같이 코로나 집콕을 이겨냅시다!!
'정형외과의사의 건강이야기 > 건강 일반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엄지 발가락 통증, 통풍 원인, 증상, 약제, 치료법, 예방법 (1) | 2020.04.15 |
---|---|
환자와 의사가 올바르게 대화하는 방법 (진료 볼때 꿀팁) (4) | 2020.04.10 |
집콕 코로나 19, 살확찐자와 거북목, 스마트폰 증후군 원인 및 교정법 (3) | 2020.04.06 |
코로나로 살 확찐자, 옷이 작아 격리하는 분들을 위한 실내 운동, 영양제 추천 (1) | 2020.04.05 |
뼈주사 맞아도돼요? 스테로이드 주사의 안정성과 부작용 (2) | 2020.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