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형외과의사의 건강이야기/골다공증

골다공증 정의, 검사 해석,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 DXA, T- score, Z-score

골다공증이란 뼈의 강도가 약해지는 근골격계의 질환입니다

 

정상 뼈와 골다공증 뼈

 

위의 그림과 같이 정상 뼈와 달리 골다공증 뼈에서는 골격이 많이 부족해 보입니다.

 

뼈를 이루는 기둥들이 없어진 것이죠. 그래서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에는 골절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골다공증은 여자에게 훨씬 흔하게 나타납니다.

 

여성의 30-40%, 남성의 10%가 골다공증을 갖고 있습니다.

 

골다공증의 진단 방법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것은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법 (DXA)'이고 그다음은 '정량적 초음파'입니다

 

골다공증 검사법

 

이중에너지  X 선 흡수 계측 장치

사진도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법을 이용한 것입니다.

 

위의 표를 보면 알 수 있는데, DXA는 진단 기준에도 적용이 되고, 골절 위험 예측, 약물 치료 후 치료 반응 평가도 가능하면서 비용도 저렴합니다.

 

골다공증 검사를 하는 부위는 척추와 대퇴골 경부입니다.

 

이 두 부위가 골다공증 골절이 가장 흔하며, 골절이 생겼을 때 가장 큰 문제가 되기 때문에 이 부위를 검사하게 됩니다.

 

하지만 골밀도 검사가 뼈의 강도를 모두 나타낸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뼈의 강도 = 골밀도(density) + 골의 품질 (quality)를 모두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골밀도는 높아도 골의 품질이 좋지 않다면 뼈는 쉽게 부러질 수 있습니다.

건물을 예로 들면, 골밀도가 낮다는 것은 기둥이 부족한 것이고, 골 품질이 낮다는 것은 기둥은 충분한데 각각의 기둥이 좋지 않은 재료로 되어있어 약한 것이죠

 

그래서 골밀도만으로 뼈의 강도를 절대적으로 확인할 수는 없고 참고를 하여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제 골밀도 검사의 해석을 해보겠습니다.

척추 골밀도 검사지

 

척추의 골밀도를 검사한 것입니다.

 

L1-2-3-4는 척추에서 허리 뼈의 번호를 나타내는 것이고, 여기서 중요한 것은 T-score Z-score입니다.

 

T-score는 (환자의 측정값 - 젊은 집단의 평균값)/ 표준편차 (1SD)으로

 

골절에 대한 절대적인 위험도를 나타내기 위해 젊은 연령층의 골밀도와 비교한 값입니다.

 

T-score < -2.5 이면 골다공증이고

-2.5<T-screw < -1.0 이면 골감소증입니다.

 

현재 환자는 평균적으로 -2.5가 넘기 때문에 골다공증이 있습니다.

그리고 골다공증과 골절의 과거력이 있다면 중증 골다공증입니다.

 

Z-score는 (환자의 측정값 - 동일 연령 집단의 평균값)/ 표준편차(1SD)로

같은 연령대의 평균 골밀도와 비교한 값이며 Z score<-2 일 때 연령 기대치 이하로 이차성 원인을 감별해야 합니다

현재 환자는 모두 정상 범위에 있어 평균에 해당하는 상태입니다.

 

, 이 검사 환자분 연령대가 높기 때문에 절대적인 골밀도는 낮지만, 같은 연령대에서는 정상 범위입니다.

연령대는 막대그래프에서 검은 점이 위치한 곳입니다. 이 표에서는 76세 정도로 보입니다. 

 

그래도 절대적인 골다공증이 있기 때문에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퇴부 골다공증 검사

이번에는 대퇴골의 경부 (femur neck) 부위의 골다공증 검사 결과입니다.

 

이 부위도 마찬가지입니다.

 

T-score가 평균 -2.3으로 골감소증에 해당이 되긴 하지만, neck이라고 칭하는 부위는 -2.5입니다.

Z-scrore는 역시 -2가 되지 않아 정상 범위입니다.

 

해석 결과

 

현재 예시의 환자는 T-score -2.5 미만으로 골다공증이 있고, Z-score는 정상 범위라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정상적인 골다공증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골다공증에 대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골흡수 억제제와 골생성제 두 가지로 크게 나뉩니다.

최근에는 골생성제(PTH 제제)의 사용량이 늘어나는 추세이긴 하지만

전통적으로 골흡수 억제제가 훨씬 많이 사용됩니다.

 

골다공증의 치료에 대해서는 다음편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