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수요 (5) 썸네일형 리스트형 노원역 북쪽의 편의점 입지 분석 (대로변보다는 골목) 이번에는 노원역 북쪽의 입지를 보겠습니다. 편의점으로만 분석하는 이유는 가장 쉬워서입니다. 김종률 대표님 말씀으로는 편의점이 입지의 바로미터라고 합니다. 그 어떤 업종보다도 영업력 브랜드 보다는 입지가 중요한 업종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편의점으로 분석을 하고, 편의점이 잘되는 자리라면 입지가 좋은 곳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투자자 입장에서도 가장 안전한것 같습니다. 이것은 대표님 의견이 아니라 저의 의견입니다. 편의점은 상가가 유지되기 위한 최소 단위인 500세대에서도 살아남는 업종입니다. 500세대 상권에는 부동산, 미용실, 세탁소, 편의점처럼 1인 점포만이 살아남습니다. 다른 업종들은 인건비를 이기지 못해서 들어올 수가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저도 편의점 투자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봅니다. 안전한 것.. 대로변 편의점 vs 골목 편의점 , 유효수요와 주동선(feat. 낙성대) 이번에도 김종률 대표님의 책을 참고하여 상권을 분석해보려 합니다. 낙성대는 서울대에서 가까워서 많은 원룸들이 있습니다. 원룸, 자취가 많은 곳은 편의점 장사가 잘된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그중에서도 대형 평수가 많은 곳은 편의점 매출이 낮고, 오피스텔, 원룸과 같이 젊은 인구들이 많이 거주하는 곳은 편의점 매출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낙성대 북쪽의 거주지에서 일 매출이 가장 높은 곳은 어디일까요? 대로변 vs 골목길 , 여러분의 선택은? 우선 정다부터 공개하자면, 골목길 편의점이 매출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이 중에서도 가장 일 매출이 높은 편의점을 찾아보겠습니다. 역시 주동선과 유효수요로 후보지를 찾아봅니다. 역을 중심으로 배후 수요 지역을 세 군데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우선 C는 면적이 가장 좁.. [상가입지분석] 7호선 철산역을 다시 보자. (유효수요와 상가 수를 기준으로 2020/08/07 - [분류 전체보기] - [상가입지분석] 7호선 최고의 입지는 어디일까? [상가입지분석] 7호선 최고의 입지는 어디일까? 어쩌다 보니 7호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유는 여러가지이지만, 내가 익숙한 선이라 그렇고, 앞에 1 2 3 4 호선 라인은 너무 발달되어있어서 가격이 비싸다. 승하 차량이 6 7 8 호선은 매우 떨어� dr-feelsogood.tistory.com 앞서는 철산역 입지 분석을 했었고, 철산역의 남쪽을 중점으로 봤었다. 분석을 하고 보니. 철산역 남쪽은 남쪽대로, 북쪽은 북쪽대로 장점이 있었다. 위의 사진처럼, 유효수요는 북쪽이 훨씬 많다. 하지만 상가수는 남쪽이 압도적으로 많다. 지적편집도를 보면, 남쪽이 상가용지가 많다. 북쪽도 좀 있어 보이지만, 저길 자세히 .. [상가입지분석] 7호선 최고의 입지는 어디일까? 어쩌다 보니 7호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유는 여러가지이지만, 내가 익숙한 선이라 그렇고, 앞에 1 2 3 4 호선 라인은 너무 발달되어있어서 가격이 비싸다. 승하 차량이 6 7 8 호선은 매우 떨어지지만, 그중에서도 상위권은 가격은 싸지만 괜찮은 상가가 있지 않을까 해서 알아보았다. 우선 나무위키를 참조해서 7호선에서 승하 차량이 높은 역을 보았다. 1위 역은 예상대로 가산디지털 단지이다. 그런데 여기는 준공업지역으로 상권 분석이 어렵고 상가 가격이 매우 비싸다. 그래서 2위 광명사거리를 보았다. 그런데 아파트 단지가 보이지 않는다. 아파트 단지가 없으면 주동선 유효수요 파악이 어렵다. 나는 초보이기 때문에... 그래서 과감히 포기. 3위 역인 철산역을 보니 바로 옆이다. 광명시가 얼마나 떴는지 알.. [상가입지분석] 더블역세권은 항상 좋을까? 태릉입구역 vs 화랑대역 더블역세권, 트리플 역세권 듣기만 해도 기분이 좋다. 그런데 역은 정말 많을 수록 좋은 것일까? 이에 대한 답은 글의 마지막에 있다. 상가 분석을 할 때 중요한 것은 유동인구가 아니라, 유효수요라고 한다. 더블역세권은 유동인구는 많겠지만 유효수요는 적을 수 있다. 한번 보도록 하자. 태릉입구역 과 화랑대역은 모두 6호선이다. 태릉입구역은 6/7호선 더블역세권이고, 화랑대역은 매우 가깝지만 6호선 단일 역세권이다. 두 역 사이는 실제로 787m 정도로 도보로 10분 정도밖에 걸리지 않는다. 초역세권 아파트를 따질 때 도보 10분으로 본다는 가정하에는 두 역은 서로가 초역세권인 것이다. 두 역이 가까울 수록, 집결력은 떨어진다. 그래서 역 하나하나의 의미가 좀 작아진다. 경전철의 경우도 역간 거리가 가까워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