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 올웨더 포트폴리오의 의미와 ETF를 이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2020/04/29 - [진지한 남편의 talk talk talk] - 궁극의 자산 배분 , 레이 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는 무엇일까 (feat. 김단테)
2020/04/30 - [진지한 남편의 talk talk talk] - 올웨더 포트폴리오, 장기투자 시 ETF, 인덱스 펀드로 구성해야 하는 이유 (feat. 김단테)
가장 최근에 변경된 올웨더 포트폴리오 ETF들이다.
주식 VTI(미국주식) 12% + VEA (미국제외 선진국) 12% + VWO 12% (신흥국)
금 IAU 7%
제로쿠폰장기채 EDV 18%
회사채 VCLT 7%
이머징 국채 EMLC 7%
원자재 DBC 7%
TIPS LTPZ 18%
https://blog.naver.com/mynameisdj/221514629975
궁금하신 분들은 블로그에 직접 방문해 보셔도 되겠다. 굉장히 유용한 정보가 많다.
오늘은 각 항목에 해당하는 ETF들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위에서 보면 주식은 약 36%,
채권은 제로쿠폰장기채+ 회사채 + 이머징 국채 + TIPS (물가연동채권) = 50%
원자재는 금 + 원자재 모음해서 14%이다.
채권의 비율이 굉장히 높다.
이렇게 묶어서 보면 그렇지만 다시 쪼개 보면 각각의 채권은 상황에 따라 다른 역할을 한다.
이제 위의 그래프에 있는 4가지 상황에서 필요한 ETF들을 다시 짚어보겠다.
#경제가 호황일 때는
당연히 주식이 앞서 나가고,회사채도 회사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수익률이 좋다. 그리고 원자재도 기업에서 많이 사가기 때문에 수요 공급에 따라 가격이 올라간다. 신흥국들의 채권도 좋다.
그래서 주식은 원래 VT (전 세계 주식 )을 넣어두었는데, 최근에는 이를 다시 3가지로 바꾸셨다.
VT에는 미국 주식이 55%가 편입되어있어 더 많은 국가들로 분산을 원하여 그렇게 하셨다고 한다.
- VTI(미국 주식) 12% + VEA (미국 제외 선진국) 12% + VWO 12% (신흥국)
미국의 S&P500 지수 추종 ETF (SPY)를 들고 있는 것보다. 고인플레이션, 고성장기에 방어하기 위하여 전 세계 주식이 골고루 들어가 있는 ETF를 넣어야 한다. 신흥국들이 경제 성장기에는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기 때문이다.
-원자재로 DBC를 넣었다. 거래량이 가장 많은 대표적인 원자재 ETF라고 볼 수 있겠다. 금은 원자재보다는 인플레이션 방어 수단이다.
-회사채로는 미국 회사 장기채인 VCLT와 신흥국의 채권으로 EMLC를 넣었다.
이머징 국가들의 채권인 EMLC를 넣은 이유는 local currency bond 이기 때문이다.
이머징 국가 채권은 inflation과 growth가 생각보다 강할 때를 대비하기 위해서 보유하는 것인데 달러화 자산이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란색과 빨간색에 EM credit 이머징 국채가 들어가 있다. 하이일드 채권이라고도 할 수 있다.
고인플레이션 시기에는 달러화가 약세인 시기다. 즉 예전에 1달러로 연필 하나를 샀다면, 인플레이션이 심할 때는 2달러로 연필 하나를 살 수 있는 것이다.
올웨더 포트폴리오가 달러를 기준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미달러가 약세이면 반대로 말하면 중국 위안 등은 강세라는 말이다. 즉, 중국 자산 100위안이 100달러였다면, 달러가 약세가 되면 100위안은 150달러가 되어 달러 자산은 증가하는 것이 된다.
#경제가 침체기일 때는
주식은 안 하는 건 상식적으로 알 수 있고, 이때에 방어할 수 있는 자산이 바로 Nominal bond , 즉 명목 채권. 여기서는 미국 재무부 발행 채권을 말한다. 경기가 어떻든 미국 재무부는 가장 마지막에 망할 것이고, 안전 자산에 대한 선호로 채권에 프리미엄이 붙으며 이자도 지급이 된다. 그리고 추가로 물가연동 채권 또한 물가 상승에 따른 이자율 상승과 채권 가격 상승을 같이 반영한다.
- Nominal bond로는 EDV를 편입시켰다.
흔히 알고 있는 미국 재무부의 장기채로는 TLT ETF가 있는데 여기서는 EDV를 썼다. 왜?
EDV는 제로 쿠폰 장기채인데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통상적으로 회사나 국가에서 채권을 발행하면 채권자들, 투자자들이 이를 사고, 채무자는 매월, 또는 매년 이자를 지급하면서 만기에 원금을 지급한다.
하지만 제로쿠폰은 이자 수익과 만기 원금 상환을 미리 반영해서 현재에 팔게 된다. 100만 원만원 , 5년 만기 5% 연이자율인 채권이 있다면,
이렇게 현재가치로 계산해보면 현재 시점에서 이 채권의 가격은 235,673.9원(이자의 현재가치)과905,715.06원(원금 현재가치)을 합친 1,141,388.96원이 된다. 시장금리보다 높은 이자를 주는 까닭에 발행 시점에 이미 액면가 이상으로 시장에서 거래된다는 얘기다.
제로쿠폰은 자금조달자 입장에서는 매달 또는 매월 이자를 지급하지 않아도 돼서 현금 흐름을 확보하는데 유리하고 재정계획을 세우는데도 유리하다.
투자자들에게는 이자를 미리 지급받는 효과가 있고 이자를 받게 되면 16.5%의 소득세를 내야 하는 게 이 소득세를 내지 않아도 되며, 이자가 이미 재투자되어있는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한 면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올웨더 포트폴리오같이 오랜 기간 가져가야 하는 곳에는 제로쿠폰 장기 채권이 좋을 수 있다.
-Inflation linked bond로는 LTPZ로 미국 물가 연동 채권을 편입시켰다.
물가연동 채권은 액면가가 물가에 따라 변동되고, 이자율도 변동이 된다. 이 채권은 주식 시장이 떨어질 때에도 변동이 없기 때문에 침체기에 들어가 있다.
레이달 리오는 이 물가연동채가 굉장히 중요해서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완성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유는 인플레이션에 강하기 때문이다.
#인플레이션이 기대보다 클 때는
금리가 오르면서 주식이 힘을 못쓴다. 고인플레이션 시기에는 원자재, 금이 포트폴리오를 방어해준다. 금 1g은 그대로이지만 달러는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원자재의 가격은 오르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때에도 물가연동 채권은 인플레이션 시기에 물가가 오르기 때문에 이익을 안겨준다.
-원자재로는 DBC를 편입시켰다. DBC에는 원유, 등유, 휘발유, 가스, 금 은 동 옥수수 밀 대두 등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수료가 조금 높은 편이다. ETF에서 0.85%는 높은 편이지만 선물이기에 어쩔 수없다.
-금은 IAU를 편입시켰다. 금 선물 가격을 최대한 잘 추종하는 ETF이다. 금태환 시대가 1971년에 종료되면서 사실상 금 1g의 가치는 변동성이 적지만 달러의 양이 천문학적으로 늘어나면서 금 가격이 계속 오른다. 인플레이션이 높을 때에는 금 가격이 더 높아지므로 이를 보유하는 것이다.
- 앞서 말했듯이 물가연동 채권으로는 LTPZ를 보유한다.
최근에 단테 님이 물가연동채 비율을 18%로 상향한 것도 인플레이션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인플레이션이 기대보다 낮을 때는
금리가 떨어지므로 채권 가격이 상승하고, 주식 시장은 오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초기에 채권 가격이 상승하고, 이후에 주식 시장 가격이 다시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래서 nominal bond로 회사 장기채인 VCLT와 미국 재무부 제로쿠폰 채권인 EDV를 편입시켰다.
그리고 주식도 편입시킨다. 앞서 말했듯이
- VTI(미국 주식) 12% + VEA (미국 제외 선진국) 12% + VWO 12% (신흥국)
여러 인터넷 문서들과 레이 달리오의 Bridge water 문서 등을 참고해서 썼습니다.
확실히 전문적인 영역이다 보니 배움이 부족함을 많이 느낍니다. 이 글을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저도 계속 배워나가는 중이고 투자를 준비 중입니다.
더 자세한 것은 김 단테 님의 블로그를 참고하시고
아래의 글을 보셔도 도움이 되실 겁니다.
https://blog.naver.com/mynameisdj/221654258854
'진지한 남편의 talk talk talk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 자금관리법 모르면 돈을 벌 수 없다. (0) | 2020.05.05 |
---|---|
은퇴 후 연금으로 월 400을 20년간 받으려면 얼마를, 몇 년 동안, 몇 퍼센트의 수익률로 투자해야 할까 (은퇴 연금 계산기) (0) | 2020.05.04 |
올웨더 포트폴리오, 장기투자시 ETF, 인덱스 펀드로 구성해야하는 이유 (feat. 김단테) (0) | 2020.04.30 |
궁극의 자산 배분 , 레이 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는 무엇일까 (feat. 김단테) (0) | 2020.04.29 |
내가 폭락장에서 살아남은 이유, 미국 국채(채권) 가격, 금리, ETF 투자 방법 (2) | 2020.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