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도시 기본계획이란
1. 상위 법정 계획입니다.
토지 이용, 주택, 교통, 공원 녹지 등 관련 공간 계획을 조정 조율하는 법정 최상위 계획입니다.
2. 20년 장기 계획
서울의 미래상과 발전전략을 제시하는 장기 비전 계획입니다.
3. 공간계획
시정 4개년 계획 등 서울시 공간 책에 대한 큰 틀을 제시하는 공간 전략 계획입니다.
기본적으로 도시 기본 계획은 법령에 따라서 5년마다 재정비합니다.
1990년 최초 계획을 수립하였고 이후에 총 4회 수립하였습니다.
현재 2030 서울 도시 기본 계획은 2014년에 수립되었습니다.
하지만 조금 더 특색을 살리고자 2030 서울플랜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서울플랜은 서울 도시 계획에서는 최상위 법정계획이지만, 이 또한 국토종합계획의 일부입니다.
정확한 체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울플랜 위에 광역 도시 계획, 그 위에 국토 종합 계획이 있는 것입니다.
이 플랜에 따라서 서울을 3 도심, 7 광역 중심, 12 지역 중심으로 나누었습니다.
여기에 더해서 53 지구 중심이라는 생활권 게획도 있습니다.
3 도심은 한양 도성 , 강남, 영등포-여의도 입니다.
7 광역 중심은 마곡, 상암-수색, 용산, 창동-상계, 청량리-왕십리, 잠실, 가산-대림입니다.
12 지역 중심은 동대문, 성수, 망우, 미아, 연신내-불광, 신촌, 마포-공덕, 목동, 봉천, 사당-이수, 수서-문정, 천호-길동입니다.
위에 언급된 곳들은 모두 지속적으로 도시 계획이 진행되는 호재가 있을 곳입니다.
이 중에서도 두 지역이 묶인 곳들은 특히나 유심히 보아야 합니다.
3 도심에서는 영등포-여의도일 것이고
7 광역 중심에서는 상암-수색, 창동-상계, 청량리-왕십리, 가산-대림일 것입니다.
12 지역 중심에서는 연신내-불광, 마포-공덕, 사당-이수, 수서-문정, 천호-길동입니다.
그리고 2030 서울플랜의 핵심은 지역 균형 발전입니다.
특히 강남.북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 상업지역 192만 제곱미터를 추가로 지정하기로 하였고
주로 동북/서남/서북권 위주로 지정하기로 하였습니다.
동남지역은 강남일대이므로 이미 활성화되어있습니다.
앞으로 이 2030 서울플랜을 바탕으로 다시 2040 서울플랜을 만들고 도시 개발을 지속해갈 것입니다.
그러므로 2030의 큰 틀을 알아야 앞으로 발전 방향을 알고, 여기에 맞춰 투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진지한 남편의 talk talk talk > 부동산 경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북지역 상권 어디가 좋을까요? 수유역 vs 쌍문역 (0) | 2020.10.29 |
---|---|
홍제역 해링턴 플레이스 재개발 후의 상가 최고의 입지는? (재건축 상가 투자 타이밍) (0) | 2020.10.28 |
창동 복합환승센터 호재, 창동상계 도시재생혁신지구 국가시범지구, 창동상계 2030 서울플랜 광역중심 (1) | 2020.10.21 |
위례-신사선 호재, 어느 역을 지나죠? 환승역만 8개인 골드라인 (0) | 2020.10.19 |
[상가입지분석] 스트리트 상가의 무서움을 알자(독립문역 상권 분석) (0) | 2020.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