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세 비과세에 대해서 알아보자.
나도 한때는 양도세 비과세이면 양도차익에 대해서 한 푼도 안내는 줄 알았다.
그럼 얼마 내나?
양도가액, 즉 내 아파트 파는 가격이 9억 이상이면 9억 이상 분에 대해서는 내야 한다.
여기에도, 1가구 1 주택이라면 장기보유 특별 공제, 기본 세액 공제 혜택이 있다.
미리 말하지만 굉장히 복잡하다.
이런 거 다 싫고 그냥 계산만 하고 싶으면 국세청 홈페이지 안내해주겠다.
모의 계산기인데 굉장히 잘되어있다.
https://teht.hometax.go.kr/websquare/websquare.wq?w2xPath=/ui/rn/a/a/b/b/UTERNAAU61.xml
진짜 궁금한 사람들은 하나씩 알아보자.
우선 양도라는 개념은 '물권의 주체가 법률행위에 의해 물건을 타인에게 이전하는 행위'이다.
물권은 동산/ 부동산에 모두 있으며, 부동산은 등기를 해야 하고, 동산은 점유를 이전해야 한다.
아파트를 예로 들어보자.
내가 서울 아파트 A를 15억 주고 '철수'에게서 산다면,
부동산이므로 등기부등본 갑구에 있는 소유주에 내 이름이 올라가야 한다.
등기를 친다.라고도 하는데 모두가 발급해서 열람할 수 있는 '등기사항 전부증명서'(등기부 등본)에 내 이름이 있으면 이 아파트는 내 소유이고, 물권의 개념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점유를 하고 있어도 소유권은 나한테 있는 것이다.
그래서 등기부 등본상 내 집인 곳에, 전세/월세 세입자를 들여서 점유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철수라는 사람이 나에게 아파트를 양도한 것이고, 나는 아파트를 양수한 사람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철수는 양도를 했으므로, 양도세를 내야 할 수 있다.
양도세는 무엇일까?
양도세는 양도차익에 대해서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내가 물건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팔았다면 그 이득에 대한 세금을 내는 것이다.
내가 집을 5억에 사서 15억에 팔았으면, 양도차익이 발생했기 때문에 양도세를 낸다.
이제 양도세를 계산해보자.
철수가 1가구 1 주택자로 양도세 비과세 요건을 만족시켰다고 보자.
여러 가지 예외가 있지만, 현재는 서울 아파트는 2년 이상 보유 및 점유를 하면 1 주택자로 인정해준다.
철수가 아파트 A를
5년 보유 및 거주/ 취득가액 5억/ 양도가액 15억이라고 해보자.
- 5년 보유 및 거주를 했기에 1 주택자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양도차익은 10억 (양도가액 - 취득가액)
- 양도가액이 9억 초과이기 때문에 양도세를 내야 한다.
(아파트를 팔 때에 9억 이하면 , 양도차익이 8억이라도 한 푼도 내지 않는다.)
양도세를 계산해보자.
우선 9억 미만에 대한 양도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가 된다. 이를 계산하면
대입해보면, 비과세 양도차익은 10억 X 9억/ 15억 = 6억
그래서 양도차익 10억 중 6억은 제하고 4억에 대해서만
즉 4억에 대해서 세금을 매긴다.
그럼 4억에 대해서 양도세율을 따지나? 아니다.
여기에 추가할 것이 있는데, 바로 장기보유 특별공제이다.
이것조차도 2018년 4월 1일 이후에는 대폭 감소해서 1년에 8%, 10년 이상을 소유해야 최대 80% 공제를 해준다.
이 경우에 대입해보면
2년 이상 거주했고, 5년 보유했기 때문에, 연 8%의 공제를 해주어 40% 공제가 된다.
만약 실거주 2년을 못했다면 연 2%의 장 특공제(최대 30%) 받는다.
그래서 4억 중에서 40%는 공제되고 60%에 대해서만 세금을 메긴다.
4억 X 60% = 2.4억 (실제 과세 대상 =과세표준액이라고 한다)
그리고, 2.4억에 해당하는 세액 구간을 찾아보면
1억 5천만 원 초과 - 3억 원 이하 : 38%
2.4억 X 38% - 누진공제액 (1940만 원) = 7180만 원
여기에 지방세 10%를 가산하면 최종금액이 대략 7898만 원 정도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필요경비/ 기본공제 연 250만 원 등이 있어서 더 복잡하다. )
자, 다시 돌아오자.
철수가 5년 전에 아파트 A를 5억에 사서 15억에 팔았다.
취득가액 5억
양도가액 15억
양도차익은 10억
양도차익 비과세분은 6억
양도 차익 4억에 대해 과세 (10억-6억)
장기보유 특별공제 40%로 4억 중 2.4억이 최종 과세 표준
여기에 해당 세율 38%를 곱하고, 지방세 10%를 더하면
7898만 원 예상
굉장히 복잡하다 그래서 준비했다. 국세청 홈페이지의 모의 계산기.
여기서 본인에게 해당되는 경우를 클릭
지금 이 케이스는 1가구 1 주택이므로 첫 번째 클릭
기본 사항을 주르륵 입력.
짜잔 하고 나온다
여기서 계산한 것이랑 조금 차이가 나는데, 기본공제액과 지방세 차이 때문이다.
이렇게 복잡하니
대략적으로만 알고, 전문 세무사와 상담하자!!!!
'진지한 남편의 talk talk talk > 부동산 경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재테크] 선입견을 버리고 원룸, 다가구로 건물주를 노리자 (0) | 2020.06.29 |
---|---|
[부동산 세금] 계약했더니 조정지역이 되었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되나? (0) | 2020.06.28 |
[부동산세금] 617대책 , 주택담보대출 규제 쉽게 풀이 (2) | 2020.06.22 |
[부동산 세금] 재건축,재개발 주택 소유시 대체주택을 활용하자! (0) | 2020.06.21 |
[부동산세금] 617대책 재건축 규제. 이젠 2년 살아야 분양받는다 (0) | 2020.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