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전근개파열

(3)
[회전근개파열] 견갑하근의 해부학, 기능, 수술의 필요성에 대하여 견갑하근이 뭘까 회전근개 4개 중의 하나이다. 회전근개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그리고 견갑하근으로 이루어져있다. 견갑하근은 이 중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근육으로 알려져있다. 그리고 영어 이름은 subscapularis muscle인데 이는, 견갑골(scapula)의 아래(sub)에 있다는 뜻이다. 사실은 해부학적 위치로는 견갑골의 앞쪽에 있는 것이지만, 바깥에서 안쪽으로 보면, 안쪽에 숨어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은것 같다. 견갑하근은 견갑골 전체를 덮을 만큼 크다. 그래서 그만큼 강력하다. 매우 중요한 근육일것 같은데, 최근에서야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예전에는 이 근육의 파열이 매우 드문것으로 생각했었는데, 실제로는 어깨 관절경 수술을 해보면 약 50%에서 발견될 정도로 흔하다고 한다. 하지만..
회전근개 파열 수술에 쓰이는 재료, suture anchor는 무엇이며 어떻게 쓰이는 것일까 최근에는 회전근개 파열 수술 시 관절경을 통해서 봉합술을 시행한다. 그리고 터진 힘줄을 뼈에 다시 붙여주는 것이 수술의 목표이며, 이때에 삽입물로 suture anchor라는 재료를 이용한다. Suture anchor는 말그대로, 실이 달려 있는 닻이다. 뼈에 닻을 내리고 그 끝에 실이 달려 있어 이 실을 이용해서 터진 힘줄을 끌어오고 그 힘줄을 뼈에 다시 고정시켜준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힘줄은 다시 뼈에 붙게 된다. 삽입물의 종류는 너무나 많아서 일일이 다 열거할 수 없다. 재질로 나누면, PEEK, 금속, 바이오콤포지트 (biocomposite) 등 이 있으며, 삽입 방법에 따라서도 Tap-in, screw-in 등으로 나눈다. 즉 나사를 뼈에 박는 건데, 그냥 떄려넣는지, 홈을 파서 나사를 조이..
어깨 힘줄이 다 끊어졌을때 치료법? (feat. 상관절낭 재건술) 50대 환자가 진료실로 들어온다. 어깨가 너무 아파서 팔을 들지도 못한다고 극상근의 광범위 파열 MRI를 찍어보니 어깨 힘줄이 다 터져서 인공관절밖에 없다고 한다. ​ 정말 인공관절 밖에 없나? ​ 어깨 힘줄에 대해서는 앞서 많이 알아봤었다. 부분파열, 전층 파열 ​ 그리고 광범위 파열 광범위 파열은 파열 크기가 5cm이상이거나 회전근개 4개 중 2개 이상의 파열 이 있을때로 정의한다. ​ 이때에는 할 수 있는게 별로 없다. ​ 관절경으로 봉합술을 시도해도 부분 봉합술만 가능한 경우가 많다. 부분봉합술은 재파열율이 70-90%에 이를 정도로 결과가 보장되지 않는 수술이다. 역행성 인공관절 치환술 또 하나는 역행성 인공관절 치환술인데. 무릎처럼 상완골 일부를 잘라내고 기구로 대치하는 것이다. ​ 결과는 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