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의사의 건강이야기/골다공증 (13) 썸네일형 리스트형 골다공증 정의, 검사 해석,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 DXA, T- score, Z-score 골다공증이란 뼈의 강도가 약해지는 근골격계의 질환입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정상 뼈와 달리 골다공증 뼈에서는 골격이 많이 부족해 보입니다. 뼈를 이루는 기둥들이 없어진 것이죠. 그래서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에는 골절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골다공증은 여자에게 훨씬 흔하게 나타납니다. 여성의 30-40%, 남성의 10%가 골다공증을 갖고 있습니다. 골다공증의 진단 방법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것은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법 (DXA)'이고 그다음은 '정량적 초음파'입니다. 사진도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법을 이용한 것입니다. 위의 표를 보면 알 수 있는데, DXA는 진단 기준에도 적용이 되고, 골절 위험 예측, 약물 치료 후 치료 반응 평가도 가능하면서 비용도 저렴합니다. 골다공증 검사를.. 이전 1 2 다음